기후변화의영향


사회
기후변화의 영향은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국민생활행태 변화 및 인간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온상승과 관련하여 대체로 '90년대 이후 한반도 여름철 고온발생 빈도가 증가 추세이고, '91-'00년간 서울시의 7-8월 평균 최고기온과 평균 사망자수 추이가 대체로 비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간접적인 건강영향으로는, 기온상승과 비례하여 대기내 광화학적 반응을 촉진하여 오존농도가 증가하는 등 대기오염을 심화시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말라리아, 세균성이질 등 매개체를 통한 질병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특히 법정전염병 중, 쯔쯔가무시증, 말라리아, 세균성이질, 렙토스피라증, 비브리오폐혈증 등 기후변화와 관련이 깊은 질병들은 '90년대 이후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좌,우로 이동가능합니다.
기후요인 | 벡터(모기 등) | 병원균 | 척추동물(쥐 등) |
---|---|---|---|
기온증가 | · 벡터 생존기간 및 활동기간 증가 · 전파 가능한 지역의 고위도·고지대로 확장 · 계절 외 활동 가능 |
· 고온 조건에서 일부 병원균 증식 증가 · 온도에 따른 병원성 증가 가능 · 오존 증가로 면역 저하 및 호흡기 감염 간접 유발 |
· 따뜻한 겨울은 설치류 생존에 유리 · 감염률 높은 개체의 생존 가능성 증가 |
강수량 감소 |
· 고인 물이 많아 모기 번식지 증가 · 급수 부족으로 위생상태 악화 · 일부 매개체는 가뭄에 적응 가능 |
· 물 부족은 위생환경 악화로 수인성 질병 확산 유발 · 병원균 농도 증가 |
· 먹이 부족으로 인간 주변 으로 이동 증가 · 접촉 기회 증가 |
강수량 증가 |
· 습도 상승으로 생존율 증가 · 집중호우로 새로운 번식지 형성 가능 · 감염벡터 확산 경로 확대 |
· 수인성 병원균 유입 증가 (홍수 후) · 일부 자료에선 말라리아 등 고습도와 관련 보고 있음 |
· 먹이 증가로 개체수 증가 가능 · 감염 개체 분포 확장 가능성 |
홍수 | · 벡터 서식지 파괴 혹은 재형성 · 비위생적 환경 조성으로 질병 전파 경로 다양화 |
· 식수·위생시설 오염으로 감염병 확산 · 수인성 질병 폭발적 증가 가능 |
· 오염된 배설물 노출 가능 · 인축공통 감염병 위험 증가 |
해수면 상승 |
· 염수 서식지에 적응한 벡터 (소금물 모기 등) 증가 가능 · 저지대 감염병 확산 가능성 |
· 염분 변화에 따른 병원균 증식 영향은 제한적이나, 해양성 질병 확산 가능성 있음 | · 영향 미미 혹은 지역적 변화에 따라 다름 |
좌,우로 이동가능합니다.
* 출처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 담당부서 : 환경정책과 (2025-04-18)
- 문의전화 : 042-270-5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