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탄소중립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산림), 제거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이 0(Zero)가 되는 개념입니다.
탄소중립을 ‘넷-제로’로 부르는 것도 이런 이유입니다.

저울 위에 한쪽은 탄소배출, 다른 한쪽은 탄소감축+상쇄가 중립을 이루고 있는 이미지
왜 2050년이 중요한가요?
  • 지구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할 경우 폭염, 한파 등 보통의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자연재해 발생
  • 상승온도를 1.5℃로 제한할 경우 생물다양성, 건강, 생계, 식량안보, 인간 안보 및 경제 성장에 대한 위험 2℃보다 대폭 감소
    ※ 지구온도를 인류생존 한계선인 1.5℃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50넌까지 탄소순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 깨끗하게 생산된 전기·수소를 산업, 수송, 건물 등 모든 부문 이용 확대
  • 그린리모델링, 제로에너지빌딩 등 디지털기술 연계 에너지 효율 향상
  • 혁신소재,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등 탈탄소 미래기술을 개발
  • 산림, 갯벌, 습지 등 자연의 탄소 흡수 기능을 강화
  • 재활용·재사용을 최대화하여 지속가능한 순환 경제 체계 구축
2050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 우리 사회와 산업구조는 아직까지 화석연료 의존이 높기 때문에 탄소중립의 실현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 하지만, 기후위기는 이미 우리 눈앞에 닥쳐 있고, 이에 대응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으로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입니다.
  • 담당부서 : 환경정책과 (2024-07-15)
  • 문의전화 : 042-270-5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