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족
- 지원대상 가구
- 한부모가족(모자가족 및 부자가족)
- 모자가족 및 부자가족이란 모 또는 부가 세대주[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인 가족을 의미
- 조손가족
- 부모로부터 사실상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이혼, 유기, 행방불명, 실종, 사망, 경제적 사유 등)을 (외)조부 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가족
- 청소년 한부모가족
- 한부모가족으로서 모 또는 부의 연령이 만 24세 이하인 가족
- 한부모가족(모자가족 및 부자가족)
- 지원대상 가구원
- 한부모가족 및 청소년 한부모가족의 “모” 또는 “부”와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
- 조손가족의 경우 (외)조부 또는 (외)조모와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손자녀
- 한부모가족 및 청소년 한부모가족의 “모” 또는 “부”와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
- 가구선정 기준
-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했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된 자
- 정신 또는 신체장애로 인하여 6개월 이상 장기간 근로(노동)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자
- 미혼모 또는 미혼부(사실혼 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
- 배우자의 생사가 분명하지 않은 자
- 가정폭력 등에 의한 배우자 또는 배우자 가족과의 불화 등으로 인하여 가출한 자
- 배우자의 군복무로 인하여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자
- 배우자의 장기복역으로 인하여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자
-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출입국관리법 제31조에 따른 외국인 등록을 마친 자)중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하여 대한민국 국적의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경우로 위의 조건을 갖춘자
- 2023년도 한부모가족지원법 지원대상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단위 : 원/월]
구 분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
기준 중위소득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
기준 중위소득 30%(생계급여 지원기준) | 1,036,847 | 1,330,445 | 1,620,289 | 1,899,206 | 2,168,394 | |
한부모 및 조손가족 |
기준중위 소득 60% |
2,073,693 | 2,660,890 | 3,240,578 | 3,798,413 | 4,336,789 |
청소년 한부모가족 |
기준중위 소득 65% |
2,246,501 | 2,882,630 | 3,510,627 | 4,114,947 | 4,698,188 |
기준중위 소득 72% |
2,488,432 | 3,193,068 | 3,888,694 | 4,558,095 | 5,204,146 |
※지원대상가구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가구선정 기준 및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하여야 함
-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 링크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
- 담당부서 : 가족돌봄과
- 담당자 : 박소정
- 문의전화 : 042-270-0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