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

  • 제목 3400억 초대형 프로젝트!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선정!
  • 담당부서 과학산업과
  • 작성일 2021-05-06

지방소멸 위기를 기회로 바꿀 3400억 초대형 프로젝트!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이 6일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 선정됐습니다.


6일 충남대에서 열린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선정발표
[6일 충남대에서 열린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선정발표 기념식]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은 지자체, 대학, 지역혁신기관(연구소, 기업,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등)이 지역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핵심분야를 선정하고 이에 맞는 대학 교육체계 개편 및 혁신기관 협업을 정부과 지원하는 프로그램인데요.

이는 지방대학 위기 심화와 지역소멸 가속화를 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해 지방대학 혁신을 위한 지역-상생 패러다임을 만드는 것으로,  다양한 지역혁신주체가 견고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결집해 지역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국가 프로젝트입니다.

이번에 선정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은 충청권 메가시티 기반구축을 위해 모빌리티 ICT와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핵심분야 사업을 중점 육성하는 것으로, 교육혁신을 통해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공유대학에서 연간 7,000명 인재양성을 목표로 추진되는데요.

핵심분야

(2)

 

모빌리티 ICT(충남대학교)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공주대학교)

대과제

(8)


모빌리티 ICT 기술선도 인재양성

모빌리티 ICT 선도기술 개발

모빌리티 ICT 신산업 지원

모빌리티 ICT 창업생태계 조성

모빌리티 소부장 지역혁신 인재양성

모빌리티 소부장 기술경쟁력 강화

모빌리티 소부장 산업전환 지원

모빌리티 소부장 창업생태계 조성

산업분야

 

자율주행서비스, 스마트휴먼인터페이스,

차세대 무선통신, SW/AI 플랫폼

 

친환경동력, 지능형 전장부품, 첨단센서융합, 반도체-디스플레이

협력기관

 

현대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카카오모빌리티, 교육청(대전, 세종, 충남), 상공회의소 (대전, 세종, 충남), 테크노파크(대전, 세종, 충남), ETRI,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등


이와 함께 세종·내포 공동캠퍼스 운영, 모빌리티분야 혁신인재 연 3,000명 취업 및 지역정착 30% 달성을 위한 청년 정주환경 구축, 모빌리티 신산업 기술고도화, 기업지원, 창업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이 함께 진행되고요.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이를 위해 대전·세종·충남 3개 지자체와 24개 대학, 63개 혁신기관, 81개 기업이 거버넌스 협력체계를 구축, 지역 인재양성과 일자리 연계로 지역혁신체계 효과성을 극대화 할 계획입니다.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여기에 투입되는 예산이 향후 5년간 국비 2,400억 원, 지방비 1,030억 원 규모인 대형 국책사업입니다.

대전시는 이를 대전도심융합특구, 스타트업파크(궁동~어은동일원), 지역선도대학육성사업, 한남대학교캠퍼스 혁신파크선도사업 등과 연계한 시너지효과로 지역경제와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인데요.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역혁신 플랫폼의 역할을 확장해 지역인재가 지역 내 취창업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양한 혁신 클러스터와 공간·기능적으로 연계시켜 정주까지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선정 소식 영상으로 보기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선정 소식 영상으로 보기]

공공누리 제1유형

대전광역시가 창작한 "3400억 초대형 프로젝트!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선정!"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대전시 콜센터 042 - 120 으로 문의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