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

  • 제목 이것이 미래다! 스마트공장, 대전형 뉴딜 핫 플레이스 탐방
  • 담당부서 과학산업과
  • 작성일 2021-04-20

“우리시 신성장 산업으로 스마트제조업 생태계를 확산시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19일 허태정 대전시장의 특별한 발걸음, ‘대전형 뉴딜 핫 플레이스 탐방’ 현장입니다.


19일 스마트공장 선도기업인 ㈜진합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
[19일 스마트공장 선도기업인 ㈜진합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


코로나19를 딛고 미래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한국판 뉴딜, 그리고 이를 선도할 대전형 뉴딜이 본격 시동을 걸고 있는데요.

이 가운데 디지털 뉴딜의 핵심과제는 스마트공장과 AI(인공지능) 솔루션 도입입니다.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인공지능 기반 제품 개발, 설계, 제조는 물론 ICT 결합 디지털솔루션으로 유통과 배송까지 전 과정 자동화로 가동되는 공장. 각 설비마다 사물인터넷(IoT)으로 공정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해 유기적으로 가동되는 것이 기존 짜여진 프로그램대로만 가동되는 로봇공정과 다르다.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고품질 다품종 소량생산을 훨씬 적은 인원으로 수용할 수 있어 기존 소품종 대량생산보다 경쟁력이 월등하고 부가가치 또한 높다.

독일 아디다스 스마트공장 스마트팩토리의 모습
[독일 아디다스 스마트공장 자세히 알아보기 클릭]


이날 허태정 대전시장이 먼저 찾아간 곳은 ㈜진합.

이곳은 최우수 스마트공장으로 선정돼 전국 스마트공장 희망 기업에게 벤치마킹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제조혁신 선도 기업인데요.

실제 이날 공장 내부에서는 조업환경에 최적화 된 자율주행차가 무거운 자재를 곳곳으로 옮기며 각각의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었고요.

또 제조라인에서 생성된 각종 디지털정보는 더 나은 공정을 위한 분석 데이터가 되며 스스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원준 ㈜진합 대표와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급기업 정진혁 ㈜솔리드이엔지 대표, 김흥남 KAIST K-Industry 4.0 추진본부장과 함께 대전형 뉴딜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는데요.

허태정 대전시장은 “스마트공장과 디지털 제조혁신은 생산성 향상이라는 1차 목표를 넘어 데이터 축적과 활용, 작업환경 개선으로 사람이 중심 되는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의견을 개진했습니다.


19일 스마트공장 선도기업인 ㈜진합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
[19일 스마트공장 선도기업인 ㈜진합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


대전시는 AI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2019년부터 관내 기업에게 매년 16억 원씩 지원하고있는데요.  올해는 투자금을 22억 원까지 확대할 계획이고요.

또 올해부터 전국 지자체 최초로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급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식재산권 및 제품군 확보, R&D(연구개발) 과제기획 등 지원책 추진, 수요부터 공급까지 전주기 지원 등을 통해 혁신생태계 구축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아울러 우수 산학연 디지털기술 인프라 활용 ‘5G+AI 기반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 구축 프로그램’도 운영, 전국 디지털 제조혁신을 선도할 방침이고요.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역경제 근간인 중소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고, 지역 신성장 산업으로 스마트제조업 생태계를 확산시키기 위해 시는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9일 스마트공장 선도기업인 ㈜진합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
[19일 스마트공장 선도기업인 ㈜진합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


한편 대전시는 한국판 뉴딜에 발맞춰 지난해 7월 대전형 뉴딜에 착수, 지난 2월 수립한 실행계획을 바탕으로 뉴딜 거버넌스 구축, 대전형 뉴딜 10대 특화과제 선정, 월 1회‘뉴딜 핫플레이스 탐방’등 성과 창출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 과학산업과(042-270-0323)로 문의하세요.


19일 대전형 뉴딜 핫 플레이스 탐방 대전뉴스영상화면
[19일 대전형 뉴딜 핫 플레이스 탐방 영상으로 보기]

공공누리 제1유형

대전광역시가 창작한 "이것이 미래다! 스마트공장, 대전형 뉴딜 핫 플레이스 탐방"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대전시 콜센터 042 - 120 으로 문의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