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

  • 제목 과학벨트에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유치 성공
  • 담당부서 투자유치과
  • 작성일 2020-09-11

4차산업혁명 시대, 과학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다른 기술과의 융복합이 중요시되고 있는데요. 단일 기관, 단일 도시, 단일 국가, 기존 폐쇄성을 깨고 유수의 일류 기업이 모일수록 시너지가 높아지고 경쟁력이 강해집니다.

그래서 세계 유명 과학기술도시를 보면 유망 글로벌기업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들 기업은 그곳에 자리 잡을 때 반대급부를 꼼꼼히 따져 투자를 결정하겠지요.


글로벌 바이오유망기업이 모여 있는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글로벌 바이오유망기업이 모여 있는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대전 신동둔곡지구에 건설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야 말로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과학기술을 선도할 최적지일 것입니다.


신동둔곡지구에 들어설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에 조성 중인 과학벨트]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유치 성공

과학벨트에 우리시 첫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이 조성됩니다.

대전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16년부터 과학벨트에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유치를 위해 공동 노력했는데요.

이번에 지정된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은 면적 83,566㎡(25,279평) 규모로 , 국비 231억 원(60%)과 시비 154억 원(40%) 등 총 385억 원이 투자될 예정이고요.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위치
[과학벨트 내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위치]


외국인투자 기업은 12개 내외가 장기임대 형태로 부지를 제공받아 입주할 예정입니다.

첫 입주예정 기업은 1,400만 달러( 167억 원) 투자신고(FDI)를 마친 아랍에미레이트(UAE) 연료전지생산업체로, 올해 말 들어설 계획이고요.

또 수소추출 디메틸에테르(DME), 천연샴푸, 기계장비 등을 생산하는 해외기업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할 예정입니다.

생산유발 2,075억 원 고용효과 1,300명

과학벨트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4,800만 달러(한화 570억 원) 이상의 외국인 직접투자를 기반으로 향후 5년간 생산유발효과 2,075억 원, 부가가치유발 749억 원, 고용효과 1,300명 이상 등 효과가 따른 전망이고요.

아울러 과학벨트 중이온가속기, 100여 개 우수 중소기업 및 연구기관, 기초과학연구원(IBS) 등이 해외기업과 협력해 기술혁신 촉진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창출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과학벨트에 건설 중인 중이온가속기 조감도
[과학벨트에 건설 중인 중이온가속기 조감도]


신기술 개발의 메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과학도시 대전을 만들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 투자유치과(042-270-3756)로 문의하세요.

공공누리 제1유형

대전광역시가 창작한 "과학벨트에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유치 성공"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대전시 콜센터 042 - 120 으로 문의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