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제목슬기로운 성평등생활 8탄
  • 작성자홍보담당관실
  • 작성일2021-11-11
  • 조회수368
  • 문의처 | 기획조정실 성인지정책담당관
  • 공공누리 등록된 공공누리 정보가 없습니다.
  • Daejeon is U 슬기로운 성평등생활 제8탄 모두가 행복한 도시 공간과 성평등
  • 공간과 성평등은 무슨 관계일까요? [2021년 성별영향평가 지침 내용 재구성] 성평등적인 도시공간은 여성과 남성의 성별특성을 반영하여 여성을 비롯한 다양한 시민의 공간선택 기회를 보장(이선영, 서울시립대 교수) 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성별 차이 범죄위험 여성 48.5%, 남성 23.2% / 야간보행 여성 49.8%, 남성 16.9% (2020년 통계청 사회조사)
  • 공간과 성평등은 무슨 관계일까요? 2. 돌봄 역할과 시설·공간이용의 어려움 여성이 돌봄대상자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시설·공간 이용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 돌봄노동 담당 비율 여성 담당 73.5%, 남성이 도와주거나 고용하여 해결 26.5% / 사회복지·돌봄·가사분야 여성취업자 비율 사회복지서비스업 85.6%, 돌봄 및 보건서비스업 96.5%, 가사 및 육아도우미 99.3% (2018년 지역별 고용조사)
  • 공간과 성평등은 무슨 관계일까요? 3. 이동패턴 성별차이 존재 공간 이동시 성별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 남성: 취업남성 거주지에서 회사로 출퇴근 시 자가용을 이용한 이용패턴 / 여성:취업여성 거주지에서 회사 출퇴근 시 자가용 또는 대중교통, 도보를 이용한 이용패턴, 비취업여성 거주지에서 행선지 이동 시 대중교통 또는 도보를 이용한 이용패턴
  • 공간과 성평등은 무슨 관계일까요? 4. 재난대처능력에서의 성별차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재난대처관련 정보, 훈련 기회가 적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함 5. 지역공간조성분야의 여성의 낮은 참여 건축·도시경관·도시계획 등의 도시공간 조성 분야 위원회내 성인지 전문가 참여 및 여성들의 의견 반영 필요
  • 시민들이 개선하고 싶은 공간은? 1.아이돌봄시설은 왜 여성공간에만? 돌봄시설은 남녀 공간 모두 사용하도록 개선 2.공간표시에 왜 여성은 분홍, 남성은 파랑? 공간표시의 성별고정색깔 이제 그만! 3.여성전용, 남성전용 공간은 왜 두는지? 약자배려석을 제외하고는 성별구분없이 이용 4.표지판은 왜 여성은 보호대상, 남성은 직업인? 성별구분없이 표지판 혹은 다양한 성별표시 표지판으로 개선 5.남자화장실은 왜 개방된 구조? 출입문, 칸막이 등을 설치해 남성도 편하게 사용 [공간의 성차별 요소에 대한 조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9)]
  • 모두가 행복한 공간을 만들려면? 사전 단계: 공간설계 시 주 이용자의 성별 특성 파악하기 *여성친화도시 주요기준:안전성, 접근성, 편리성, 쾌적성 / 계획수립: 공공시설·공간조성 가이드라인 반영(2021년 성별영향평가 지침 169p) / 계획추진: 전문가 자문이 필요한 경우 성별영향평가 의뢰(성인지정책담당관) / 공간이 성평등하면, 삶의 질도 바뀝니다.
  • 이전 1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