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트램
세계의 도시별 트램 소개
-
독일 프라이부르그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중점을 둔
통합교통 계획 수립으로 트램을 우선하는
토지이용정책 실행지역의 건강한 성장·발전을 위해 모든 계획수립 단계에 시민들의 광범위한 참여가 이루어 짐
-
독일 드레스덴
트램 노선에 잔디식재를 활용하여 소음 감소 효과
이용객 수요에 적합한 여러 종류의 티켓 제공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녹색교통을 중시하여 보행, 자전거, 트램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중시주요 관광지를 트램으로 연결하여 외곽 및 타도시까지 트램 운영
-
오스트리아 비엔나
비엔나의 주요 교통수단은 트램과 지하철이며,
버스는 외곽 지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대중교통수단 간 환승 편의를 위해
보행자전용지구조성 및 보도폭 확대 -
스페인 바르셀로나
올림픽을 앞두고 친환경적이고 도시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트램 도입 결정
'슬로 시티'를 표방하여 교통체증 구간은 차로를 축소하는 역발상으로 교통수요 관리
-
스페인 마드리드
도심지 내 일방통행 위주, 주차비 인상 등 승용차 이용을 불편하게 함으로써 수요 억제
지하철, 트램 등 대중교통 구축과 동시에 자전거도로 확대로 수요 전환 유도
-
일본 도야마
거점집중형 콤팩트한 마을 만들기 실현을 위한
트램 도입편리성 향상에 따른 이용객 증가는 도시 주변 지역 활성화에 기여
-
일본 히로시마
휠체어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폭을 넓히는 등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 조성
일본 최초 '노면전차 우선신호 시스템' 도입
-
호주 멜버른
1885년부터 오랜 기간 트램을 운행했고 2017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긴 트램망으로 유명
시내 순환노선은 관광객을 위해 무료로 운행하여 도심 곳곳의 관광 명소를 다닐 수 있음
-
호주 시드니
시드니 내의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티켓을 활용하여 수요 견인
트램은 장기적 안목에서 도심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음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도시 이미지 제고에 성공하였고 유럽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로 인식되고 있음교통수단 간 효율적인 환승체계가 돋보임
-
프랑스 몽펠리에
트램 차량의 내·외부 및 정거장 디자인을 동일한 콘셉트로 도시 이미지를 한층 제고
도심~외곽 지역 연계 구간의 경우 노면전차의
선로 및 주변에 잔디를 심는 등 주변 미관 고려 -
프랑스 보르도
무가선으로 운행하며 보르도의 여러 문화유산을 둘러볼 수 있음
-
프랑스 리옹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르네상스 건출물과
조화를 이루어 도시재생 효과를 높임시내 중심거리의 6차선 도로를 2차선으로 줄여
트램을 통해 보행자 증가 견인 -
프랑스 파리
트램 노선을 녹지공간으로 조성하고 주변 건물을 조형물과 미술품으로 꾸며 문화예술특화지역
으로 변모 -
이탈리아 밀라노
레일에 잔디를 깔아 친환경적 주변환경 조성
다양한 디자인의 트램을 활용하여 광고효과 및
관광객 유치 기능을 함 -
헝가리 부다페스트
차량통행로와 구분되어 운행하고 구도심과 주거지역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임
도시 내부의 다양한 교통수단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관광객 및 시민들에게 편의 제공
-
캐나다 토론토
11개 노선이 도시 구석구석을 운행하여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좋음
트램 동영상
좌,우로 이동가능합니다.
순서 | 국가(도시명) | 트램영상(URL) | 순서 | 국가(도시명) | 트램영상(URL) |
---|---|---|---|---|---|
1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2 | 독일 베를린 | ||
3 | 아일랜드 더블린 | 4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
5 |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 6 | 독일 브레멘 | ||
7 |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 8 | 네덜란드 로테르담 | ||
9 | 네덜란드 헤이그 | 10 | 콜롬비아 메데인 | ||
11 | 프랑스 리옹 | 12 | 프랑스 보르도 | ||
13 | 호주 멜버른 | 14 | 독일 프랑크푸르트 | ||
15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16 | 스페인 발렌시아 | ||
17 | 스페인 세비야 | 18 | 미국 뉴욕 | ||
19 | 미국 샌프란시스코 | 20 | 홍콩 | ||
21 | 헝가리 부다페스트 | 22 | 터키 안탈리아 | ||
23 | 터키 이스탄불 | 24 | 이탈리아 로마 | ||
25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26 | 스웨덴 스톡홀름 | ||
27 | 핀란드 헬싱키 | 28 | 포르투칼 리스본 | ||
29 | 포르투칼 포르투 | 30 |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
좌,우로 이동가능합니다.
- 담당부서 : 트램정책과
- 담당자 : 윤인수
- 문의전화 : 042-270-0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