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

  • 제목 멸종위기 감돌고기 유등천에 살아요
  • 담당부서 기후환경정책과
  • 작성일 2020-06-10

“힘차게 잘 살아야해!”

지난 5일 중구 침산동, 들녘을 가로지르는 유등천으로 성큼성큼 들어선 사람들.

손에 쥔 봉지 입구를 열자 물고기들이 쏟아져 나오는데요.

대전의 깃대종이자 멸종위기 1급 ‘감돌고기’입니다.


깃대종 일반적 선정기준 생태ㆍ지리ㆍ문화ㆍ사회적으로 그 지역을 대표 할 수 있는 동ㆍ식물 /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삭하여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인식되는 종(- 생태적 가치: 생태계 안정성,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고 있는지 -경제적 가치: 야생생물 관찰, 체험 등 여가생활을 즐기며 활동하면서 창출되는 부가가치가 있는지 - 사회적가치 : 야생생물과 관련된 활동으로 인해 인간의 사회적 활동의 증가를 통해 유체적ㆍ정서적 건강과 활력을 얻을 수 있는지 - 심미적 가치 : 야생생물이 지니고 있는 생명체의 아름다움과 주위의 서식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심미적 가치가 있는지) / 멸종위기야생생물 또는 천연기념물과 같은 법적보호종 (※ 전국 최초로 시민 공론화를 통하여 선정함)
대전의 깃대종, 하늘다람쥐, 이끼도롱뇽, 감돌고기의 사진
[대전의 깃대종, 왼쪽부터 하늘다람쥐, 이끼도롱뇽, 감돌고기]


이날 감돌고기 방류는 대전시와 금강유역환경청이 후손에게 보다 좋은 자연환경을 전해주고자 기획한 것으로, 지난해 10월에 이어 두 번째 행사인데요.

지난해에는 치어 1,500마리, 이번엔 성어 500마리를 방류했습니다.



[5일 중구 침산동 수련교 아래에서 감돌고기를 방류하는 대전충남생태보전시민모임]


돌고기? 돈고기?

개천에서 물놀이 하고 다슬기를 줍다 보면 선명한 검은 줄이 눈에 띄는 돌고기.

그런데 돌에 붙어 살아 돌고기가 아니랍니다.

실제 서식지에 돌이 많고, 가끔 몇몇 자료에서 영어표기로 ‘Stone fish’라고 나온 경우도 있어 종종 그렇게 알고 있더라고요.

돌고기 주둥이를 보면 돼지처럼 납작통통하게 튀어나와 돼지 돈(豚), 돈고기라 하는 것을, 발음이 편한 돌고기라고 부르게 된 것이지요.


대전의 깃대종 감돌고기
[대전의 깃대종 감돌고기]


멸종위기 1급

그러면 감돌고기는 돌고기랑 어떻게 다를까요?

식별 포인트는 꼬리지느러미, 돌고기는 몸통 가로줄이 꼬리지느러미에서 끝나지만 감돌고기는 여기에도 검은 띠가 예쁘게 새겨있습니다.


돌고기와 감돌고기 사진
[돌고기(왼쪽)와 감돌고기(오른쪽) 차이]


물놀이하다가, 천렵하다가, 다슬기 줍다가, 감돌고기가 잡히면 잘 놓아주세요.

멸종위기 1급 귀하신 몸, 만약 멸종위기 1급 생물을 고의로 잡는다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형을 받을 수 있고요.

게다가 돌고기 종류는 피라미나 버들치보다 맛이 없어 식용으론 별로랍니다.

포식자 꺽지에게 탁란

꺽지는 쏘가리나 끄리가 없는 작은 하천에서 수중생태계 최상위를 차지하는 포식자입니다.

그런데 감돌고기는 과감하게 꺽지 보금자리에 알을 낳아 부화시키는 특이한 행동양식을 갖고 있다는 사실.

꺽지가 알을 낳으면 감돌고기 수십 마리가 떼로 달려들어 그곳에 알을 낳는 것인데요.

보금자리를 지키는 특성이 있는 꺽지가 열심히 쫓아내보지만, 물량 앞에 장사 없다고, 알자리가 섞여 버립니다.

그렇게 감돌고기는 천적 꺽지의 보호를 받으며 무사히 부화할 수 있는데요.

꺽지알이 깨어나기 열흘 전쯤 먼저 부화해서 도망가는 특이한 생존 알고리즘을 갖고 있어 무사히 빠져나옵니다.


감돌고기 탁란과 꺽지 사진
[감돌고기 탁란과 꺽지]


소중한 자연을 물려줍니다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감돌고기는 유등천이 포함된 금강계를 비롯해 만경강과 웅천천에 분포했으나, 웅천천 서식 개체는 절멸했습니다.

이에 대전시와 유관기관, 시민단체, 기업이 힘을 모아 멸종위기종 보호 등 다양한 생태계 보전사업을 진행 중인데요.

오는 7월에는 우수한 지역 자연생태 보전자원을 시민에게 널리 알리는 기 위해 ‘대전의 아름다운 자연생태 10 선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 기후환경정책과(042-270-5441)로 문의하세요.


대전의 깃대종의 특성 - 하늘다람쥐 (생태)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천연기념물 (특징) -생태적 가치 및 귀여운 외모 등 친밀감이 높음 -앞발과 뒷발 사이 비막(飛膜)이 있어 20-30m이상 활공 가능 → 기존 보문산, 식장산 일대에서 대전 대부분의 산림에서 서식하는 것을 확인되어, 대전시 산림 생태계가 건전한 것으로 확인 / 이끼도롱뇽 (생태) 국내 희귀종 / 법정보호종은 아니나 향후 멸종위기종 분류가능 (특징) -대전 장태산에서 아시아 최초 발견되어 상징적 의미가 큼 -다른 도롱뇽과 달리 피부호흡을 하며, 아시아 유일의 미주도롱뇽 → 기존 장태산뿐 아니라 빈계산, 갑하산 계곡에서 추가 서식이 확인되어, 계곡 생태계의 건강성이 양호한것으로 확인 / 감돌고기 (생태) 우리나라 고유종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특징) -금강과 만경강 일부 수역에만 서식하는 대전의 대표 어류 -꺽지 산란장에만 침입하여 탁란하는 독특한 산란 습성을 지님 → 1급수 맑은물에 서식하는 감돌고기는 유등천 상류(수련교~복수교) 5개 지점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어, 종 보전 및 복원 추진

공공누리 제1유형

대전광역시가 창작한 "멸종위기 감돌고기 유등천에 살아요"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대전시 콜센터 042 - 120 으로 문의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