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친환경 도시농부 어렵지 않아요! 가꾸는 기쁨, 나누는 행복, 건강한 시민

도시농업배우기

도시농업의 역할

  • 도시민의 여가활동이나 체험욕구 증가와 함께 농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농업』의 역할 부각
  • (산업경제) 도시농업은 신선 안전농산물 생산이라는 식량공급 기능 외에 에너지 절감, 고용 창출 등 다양한 산업 경제적 효과 유발
    • 건물 옥상녹화 시 단열효과를 통해 냉난방비 16.6% 절감 가능
      도심 자투리땅 논·밭 10㎡는 여름철 폭염기에 월 30만원 에너지 절감 및 대기정화 효과
    논 : 321,670원, 밭 : 282,420원/ 국립한경대학교 식물생명환경과학과 김태완 교수
  • (환경생태) 대기오염, 수질저하, 열섬현상 등 환경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도시농업의 역할 부상
    • 대기 및 수질 정화, 소음방지, 토지보전, 자원순환, 생물다양성 유지 등 환경생태보전 역할 수행
      도시의 옥외 공간 100㎡에서 식물재배 시 효과
    온실가스 약 22.75kg/년 감축, 성인 2명 1년 호흡 산소량 공급, 200L 빗물 저장(깊이 10㎝)
  • (사회문화) 도시민의 정서순화, 공동체 회복 등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농사 체험을 통한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도 제고의 가치 재인식 계기 마련
    • 건강증진, 건전 여가‧취미생활의 활성화, 자활 등 다양한 사회적 효과 발생
      도시농업 경험자(67.6%)가 비경험자(59.9%)보다 우리농산물을 7.7% 많이 소비
  • 담당부서 : 농생명정책과
  • 담당자 : 박찬환
  • 문의전화 : 042-270-3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