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응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성장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도시농업 역할 확대 전망
- 원료 원거리 수송에 따른 CO₂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로컬푸드운동 등 도시농업이 각광
도시텃밭 1ha 조성시 채소류 1.2톤 생산, CO₂감축량 2.4톤
- 도시건축물 옥상 및 벽면 녹화시 열 환경 개선
옥상 녹화시(텃밭 조성시) 실내온도 3.5℃ 저하 효과
도시와 농촌의 상생
- 도시민의 직접적인 농작물 재배 수요 및 도농직거래 활성화 예상
- 친환경, 웰빙, 안전·안심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 증대
- 도시를 중심으로 도농상생을 위해 직거래 보편화 전망
도시민 삶의 질 향상
- 주 5일 근무제 정착과 도시민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과 함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농업 수요 증대
- 도시농업이 지역사회 공동체 회복, 도시환경 정비 등 문화 예술적 부분까지 영역이 확대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 예상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확산
- 향후 노인 소일거리 제공, 청소년의 인성 함양, 원예치료 등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도 더욱 부각될 전망
- 어린이, 초등학생 등 학교교육형 도시농업으로 인성 개선
- 채소, 꽃 가꾸기 등으로 스트레스 완화 및 건강 증진
(네덜란드) 농업활동, 농촌경관을 통한 심신치유 프로그램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
- 담당부서 : 농생명정책과
- 담당자 : 박찬환
- 문의전화 : 042-270-3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