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소통마당

전통음악의 이해
전통음악의 이해

우리의 전통음악은 크게 대별하면 지성적인 비중이 큰 정악과 감성적인 징후가 풍부한 민속악으로 나눌 수 있다.
정악은 주로 상층문화 계층인 선비문화와 친밀한 관계이며 민속악은 보통 서민문화와 관계가 깊다 할수 있다.
우리 음악의 특징이라면 처음으로 템포를 들 수 있겠다. 심장의 박동을 기준 삼은 서양음악이 활기차고 진취적이고 동(動)적이라면 사람의 호홉을 기준으로 하는 우리 음악은 정(靜)적이고 명상적이고 차분하다. 정악계통의 음악들이 보통 이에 해당되는데 매우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준다.
감정을 절제하는 정악계통의 음악과 달리 민속악계통의 음악들은 즉흥성이 풍부하며 지성적인 면보다 감성적인 면이 두드러진다.
시나위, 산조독주, 판소리 등이 이에 속한다.

한국전통음악의 분류

  • 아악

    합악, 관현악합주, 관악합주, 현악합주, 취주악, 세악, 병주

  • 가악(歌樂)

    가곡, 가사, 시조

  • 의식음악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경모제례악, 무악, 범패

  • 민속악

    시나위, 산조, 잡가, 민요, 판소리, 농악 등

창작국악의 이해
창작국악의 이해

창작국악이란 기존의 정악곡이나 민속악의 전형적인 틀에서 벗어나 현대 감각에 맞는 흐름으로 새롭게 작곡되는 국악곡이다. 1950년대 김기수(이왕직 아악부 4기생)를 필두로 하여 요즈음 젊은 작곡자 까지그 활동범위가 확대되고 있어 국악연주활동에 많은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정악을 모태로 한 변주곡, 독주곡이던 산조음악 등이 협주곡 형식으로 편.작곡되고 또한 성악곡 민요, 판소리 등 독창곡이던 음악들도 새롭게 편.작곡하여 관현악에 맞추어 노래를 하므로써 좋은 호응을 받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장구, 징, 꽹과리, 북등 타악기와의 협주곡 등까지 많은 음악들이새롭게 만들어져 창작국악의 범위는 앞으로도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서양악기인 바이올린, 첼로, 클라리넷, 플롯 등과의 협주곡들도 많이 작곡되어 각 연주단체에서 동.서양 악기의 만남이란 주제의 연주회도 많이 개최되고 있다.

  • 담당부서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 담당자 : 김기훈 (2022-02-28)
  • 문의전화 : 042-270-8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