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새로운 한해의 영농계획을 설계하고 농업의 기술적 대응을 위하여 농한기를 이용 분야별 체계적인 교육실시
- 연구 개발된 새로운 기술 및 경영 · 유통에 대한 실용교육으로 농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
- 영농현장 애로사항 해결 및 정보교류, 일체감 조성을 통한 농업인 교육만족도 향상
- 농정시책 홍보와 농업 녹색기술 교육으로 국가의 녹색성장 뒷받침
- 추진방향
-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생산비 및 에너지 절감기술 정보제공
- 품목별 맞춤식 차별화 교육 추진
- 친환경 농업을 이용한 국토환경보전과 안전농산물 생산
- 고품질 안전 축산물 생산으로 축산업 경쟁력 향상
- 원예, 토양과 비료, 안전성 농약 등 고품질 생산기술 및 농산물 유통개선교육
- 공익사업을 위한 농지수용관련 영농손실보상 상담자료 활용
-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현황 및 안전사용
- 교육추진기관
- 주관 : 대전광역시장
- 실시 : 농업기술센터 소장
- 후원 : 농협중앙회 · 지역농협, 농촌지도자연합회, 농업경영인연합회, 4-H연합회, 품목별농업인연구회 등
- 인원 및 과정운영 : 10회 400명(회당 40명)
- 교육시기
- 매년 1월 ~ 2월(중점), 농업인 요구 시(수시)
- 교육대상
- 품목별 교육을 희망하는 농업인
- 쌀 소득등직접지불제 보조금 지급대상 농업인
- 지역특화작목 재배기술교육을 희망하는 농업인
- 전원생활을 통하여 농업에 입문하고자 하는 시민
- 교육장소
- 농업기술센터, 주민센터, 마을, 농협 등 공공시설 회의실
- 교육과정 설정 및 교과목 편성
- 공통과목
- 농정시책 : 농업정책방향, 시정 · 구정 홍보, 직불제, FTA, 맞춤형비료, 농업재해보험, 농업경영체 등록제 등
- 현안과제 : 지역농업특성화, 농자재 유통, 농약, 농기계 안전사용, 산불예방 등
-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 분야
- 종합반 : 편성과목 - 벼농사, 밭농사, 친환경농업, 노지채소(고추), 농기계 관리
- 전문반 : 편성과목 - 토마토, 포도, 배, 버섯, 축산, 화훼, 에너지절감대책
- 교육내용 및 방법
- 과목당 · 교육목표 달성에 주안점 두고 실시
- 교육내용은 농업인식을 확고하게 다지는 계기마련, 실천의지와 전문기술 능력 배양
- 품목별 단기교육은 새해 농업인실용교육 보다 수준 높은 품목별 전문교육 실시
- 과목별 강사편성
- 편성된 교과목 핵심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자체 강사를 활용하되 필요시 중앙 및 외래전문 강사 활용
- 교육추진방법
- 질의 응답 식 교육으로 농업인 애로사항 해소
- 문제점 및 대책, 핵심기술과 사례위주의 교육
- 주요 품목별 핵심기술 위주의 집중교육으로 주요 영농시기별 실천과제 중심 교육
- 담당부서
- 관련사진

노지채소 강의

농기계안전사용교육

전문반 외래강의

질의 응답시간

축산현장컨설팅 교육

교육 후 농업인 요청 현장 방문 교육
- 담당부서 : 지도개발과
- 담당자 : 이정은 (2022-11-08)
- 문의전화 : 042-270-6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