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전트램
트램도시 대전
새로운 100년을 열어감니다.
대전트램
HOME
사이트맵
대전광역시청
트램소개
트램이란
트램 도입배경
트램의 장점
트램 추진현황
세계트램
주요도시별 트램
광역교통망
충청권광역철도
BRT 추진현황
고속철도변정비
알림마당
공지사항
자료실
자주하는 질문
전체메뉴 열기
광역교통망
충청권광역철도
BRT 추진현황
고속철도변정비
home
광역교통망
고속철도변정비
고속철도변정비
인쇄
경부고속철도변정비사업
신탄진철도인입선이설
경부고속철도변정비사업
동서교통의 원활한 흐름과 생활환경 개선으로 지역균형발전 도모
지역업체 참여기회 확대를 통한 일자리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 유도
사업개요
위 치 : 대덕구 오정동(한남고가차도) ~ 동구 판암동(판암IC)
사 업 량 : 총연장 6.7km(3개 분야 30건)
입체교차시설 개량․신설(17개소), 측면도로(9.04㎞), 복합활용공간(6.91㎞)
사 업 비 : 4,997억 원(공사비 2,730보상비 2,267)
사업기간 : 2008년 ~ 2022년
그동안 추진상황
2006. 8 : 경부고속철도건설 기본계획변경ㆍ고시(건설교통부)
2007. 5 : 정비사업 관련 양해각서 체결(시장 ↔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2007.11 : 경부고속철도건설사업 실시계획 승인ㆍ고시(건설교통부)
2007.12 : 철도변정비사업 수탁시행 협약 체결(시 ↔ 한국철도시설공단)
2008.11 : 한남고가차도 건설공사 및 전면책임감리용역 착공
2009. 2 : 경부고속철도변정비사업 공사별 집행계획 수립
54개 공구로 분할 발주(토목 20, 전기 15, 조경 6, 철거/폐기물 13)
2009. 3~5 : 성남지하차도 건설공사 등 12개공구 착공
2011.10 : 한남고가차도 건설공사 준공
2013.12 : 홍도제1,2지하보도 건설공사 착공
2014.11 : 측면도로 하선(6-2, 6-3공구) 건설공사 착공
2014.11 : 복합활용공간 조성공사(6개공구) 발주
2014.12 : 경부고속철도변 정비사업 실시계획 변경 승인 고시(국토부고시제2014-868호)
사업기간연장 : 당초 '08 ~ '14년 / 변경 '08 ~ '16년(2년 연장)
2015. 5 : 성남지하차도 준공
2015. 6 : 삼성지하차도 연결도로 건설공사 착공 및 효동제1지하차도 준공
2015. 7~8 : 원동지하차도, 홍도제1ㆍ2지하보도공사 준공
2016. 9. 13 : 경부고속철도변정비사업 실시계획 변경 승인 고시
2016. 11. 28 : 경부고속철도 대전도심구간 건설사업 부분준공
2017. 12. : 공정률 100% / 입체교차시설 17개소, 측면·연결도로 6개소, 복합활용공간 7개소
2018 ~ 2022 : 준공 전 측면도로 등 보완 및 복합활용공간 유지관리사업 추진
향후 추진계획
2023. 12. : 경부고속철도변 정비사업 준공 고시
신탄진철도인입선이설
철도 인입선의 도심관통으로 인하여 교통장애와 도심균형발전 저해
낙후된 도심활성화와 지역민의 오랜 숙원해소를 위해 외곽 이설 필요
사업개요
기 존 : 신탄진동(신탄진역) ~ 상서동(차량정비단) / 약 1.6㎞
이 설 : 와동(회덕역) ~ 상서동(차량정비단) / 약 1.8㎞
소요사업비 : 568억 원
그동안 추진상황
2008.10 : 용산 차량검수시설 대전이전 기본계획 협의
2010.12 : 지역주민, 정치권 공조 인입선 이설 촉구
2011. 6 : 충청권철도(논산~청주공항) 사업계획(2016년 ~ 2020년)에 포함 추진하는 방안 검토 회신 / 국토부 → 市
2012. 6 :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비 1회 추경 확보(시비 11.6억 원) / 2회 추경 삭감
2012.11 :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충청권철도망구축사업 예비타당성 검토(’13년) 답변
2013. 5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충청권 철도」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실시 / 한국철도시설공단
2013.11 : 국가철도망구축사업(충청권광역철도)예비타당성 신청 / 도시철도기획단
구간 : 계룡역 ~ 신탄진역 / 사업비 2,527억 원 / 35.2km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후반기(2016 ~ 2020년) 착수사업
대전시(2013.11.26) → 국토부(2014.1.15) → 기재부(2014.4.11선정) → 한국개발연구원 / 2014.5 예타 착수
2017. 12 : 사업비 국회 본회의 통과
2018. 2 : 국토교통부 추진계획 통보
2018. 9 : 중기지방재정계획 반영
2019. 2. : 실시설계용역 계약 및 착수
2021. 2. : 실시설계용역 완료
2021. 4. : 위수탁협약 체결(시↔국가철도공단)
2021. 11. : 공사 착공
향후 추진계획
2025. 5. : 공사준공
담당부서 :
철도광역교통과
담당자 :
이종민 (2023-04-05)
문의전화 :
042-270-6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