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인쇄

트램(노면전차)의 정의

  • 도시철도의 한 종류로서 도로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자동차와 겸용 혹은 전용으로 운행하며 사람을 주로 수송하는 전기 철도차량입니다.
  • 도로에서 직접 승·하차하므로 접근성이 좋고 노약자와 임산부,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용이 편리한 교통수단입니다.
법령으로 알아보는 트램
도시철도법 제2조 제2호

도시철도란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도시교통권역에서 건설·운영하는 철도·모노레일·노면전차·선형유도전동기·자기부상열차 등 궤도에 의한 교통시설 및 교통수단을 말한다.

궤도운송법 시행규칙 제2조 제6호

‘노면전차(tram)’란 도로 등에 설치한 두 줄의 레일을 따라 궤도차량을 움직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궤도시설을 말한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홍보영상 中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홍보영상 中 이미지1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홍보영상 中 이미지2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홍보영상 中 이미지3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홍보영상 中 이미지4

과거와 현재의 트램(노면전차) 개념 변화

  •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트램은 과거 국내에 존재했던 노면전차와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 과거와 달리 현재의 트램(노면전차)궤도는 단순히 도로 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대개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소음과 진동이 완화된 형태의 현대적 선로입니다.
  • 차량의 외관이 더욱 다양해졌고 승차감이 우수한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도시재생과 같이 전반적인 도시 환경과의 조화가 중시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트램(노면전차)의 개념 변화
트램(노면전차)의 개념 변화목록으로 항목,과거의 노면전차,현대의 트램에 대한 정보가 확인됩니다.
항목 과거의 노면전차 현대의 트램
인프라 이용 도로교통수단과 공유, 자동차 운행방해 전용 노선 이용, 도로교통에 대해 우선권
도심 설치 특별한 기능 없음 도심재생 및 재개발 수단
노면 인프라 기술 저급 기술 : 비연결 단순 철길, 진동 소음 문제 발생 고급 기술 : 장대 레일, 이중 마감, 진동 소음 문제 완화
급전 방식 가선 방식 가선 방식, 무가선 방식(제3선, 배터리, 슈퍼캡)
편리함 및 접근 안전성 도로에서 바로 접근, 계단 존재(고상) 정류장에서 접근, 저상(수평 접근 가능)
운영 조건 도로 통행에 연계한 불확실성, 일정성(Regularity)없음 도로 통행과 분리, 일정성 확보
차량 고정된 규격, 용량 한계 존재, 편안함을 위한 디자인 전무 다양한 길이의 차량 존재, 용량 한계 거의 없음, 편안함을 위한 기준존재, 주행 시 조용, 측면 흔들림 제거
비용 km당 수백만 유로 km당 1,500 ~ 3,000만 유로

- 출처 : Richard Bergeron 2003.

과거 노면전차 운행 사례

  • 1898년 대한제국은 미국과의 합작으로 한성전기회사를 설립하여 같은 해, 12월 서울 서대문 ~ 청량리 구간에 노면전차를 운행했습니다. 해당 노면 전차는 사대문 안을 연결했고 이후 부산, 평양에도 건설되었습니다.
  • 1910년 이후 노면전차의 노선이 용산, 원효로, 왕십리, 영천, 노량진 등 외곽지대로 확장되었고 1941년 까지 총 40.5km 구간을 운행하였습니다.
과거 서울의 노면전차 모습
  • 과거 서울의 노면전차 모습 이미지1
  • 과거 서울의 노면전차 모습 이미지2
트램 인포그래픽 : 트램의 과거, 그리고 현재
트램의 과거, 그리고 현재 해외트랩 최조 베를린[1881] 현재 380개 도시 2,300개 노선 운행 국내트랩 최초 서대문~청량리[1898.5. 8km] 국내최초 노면전차 11개 노선, 40.6km 연장 / 72개 정거장 1968.11. 이후 버스 자동차 증가로 폐지 현재 대전 트램[2027 예정, 36.6km] 국내 최초 상용노선 건설 중 사업비 7,643억원 정거장 37개소 차량기지 1개소 노선 본선 34.6km 지선 3.2km 국내 20개 시 도 31개 노선 추진중(사업비 10조 504억 원, 규모 381.82km) 이미지
  • 담당부서 : 도시철도정책과
  • 담당자 : 홍은비
  • 문의전화 : 042-270-0924